맨위로가기

잠시드 아무제가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잠시드 아무제가르는 이란의 정치인으로, 1923년 테헤란에서 태어나 테헤란 대학교에서 법과 공학을, 코넬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는 보건부 차관, 노동부 및 보건부 장관, 농업부 장관, 재무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1965년부터 1974년까지 OPEC의 여러 정기 회의를 주재했다. 1971년 사우디아라비아와의 유가 인상 합의를 통해 이란 경제 발전에 기여하여 '타지-에 이란' 훈장을 받았고, 1977년 총리로 임명되었으나, 실업률 증가와 사유자산 축소로 인해 인기가 하락하여 1978년 사임했다. 1979년 이란 혁명 이후 미국으로 이주하여 거주하다가 2016년에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파르스주 출신 - 하디 추판
    하디 추판은 이란 출신의 보디빌더로, 2022년 미스터 올림피아에서 우승하며 이란 선수 최초로 정상에 올랐고, 다수의 국제 대회에서 우승 및 입상, 스포츠맨십 논란, 그리고 2024년 아놀드 클래식 우승 등 현재까지도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 파르스주 출신 - 칼레드 샤피에이
    칼레드 샤피에이는 이란의 축구 선수로, 이란의 여러 클럽과 FC 서울에서 활동했으며 바슌다라 킹스 소속으로 방글라데시 연맹 컵에서 우승했다.
  • 이란의 총리 - 미르호세인 무사비
    미르호세인 무사비는 이란의 건축가이자 정치인으로, 총리 역임 후 2009년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여 녹색 운동의 주요 지도자가 되었으나 가택연금되었다.
  • 이란의 총리 - 아미르 카비르
    아미르 카비르는 19세기 카자르 왕조 시대 이란의 정치가이자 개혁가로, 총리 재임 기간 동안 국가 근대화를 위한 광범위한 개혁을 추진했으며, 특히 다롤푸눈 설립을 통해 근대 교육의 기틀을 마련했으나 기득권 세력의 반발로 암살당했다.
  • 이란 혁명 관련자 - 지미 카터
    지미 카터는 해군 장교와 땅콩 농장 운영을 거쳐 조지아 주지사를 역임하고 도덕적, 진보적 이미지로 미국의 제39대 대통령을 지냈으며, 퇴임 후 카터 센터 설립과 인도주의 활동으로 2002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하고 미국 역대 대통령 중 최장수 기록을 세웠다.
  • 이란 혁명 관련자 - 알리 하메네이
    알리 하메네이는 이란의 최고 지도자로서, 이란 혁명에 참여하고 대통령을 역임한 후 1989년부터 이란의 정치, 경제, 사회, 외교 전반에 걸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하며 보수적인 정책 기조와 강경한 반미, 반이스라엘 성향을 보이는 인물이지만, 그의 최고 지도자 자격과 권위주의적 통치 방식은 논쟁과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다.
잠시드 아무제가르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77년의 잠시드 아무제가르
1977년의 아무제가르
이름잠시드 아무제가르
원어 이름جمشید آموزگار
출생일1923년 6월 25일
출생지테헤란, 카자르 페르시아
사망일2016년 9월 27일
사망지록빌, 메릴랜드주, 미국
학력코넬 대학교
정당라스타키즈
배우자울리셰 아무제가르 (사망, 2005년)
부모하비볼라 아무제가르 (아버지), 에흐테람 사다트 아즈무니안 (어머니)
친척자한기르 아뮤제가르 (형제)
서명
공직
직책이란 총리
임기 시작1977년 8월 7일
임기 종료1978년 8월 27일
군주모하마드 레자 샤 팔라비
이전아미르-아바스 호베이다
다음자파르 샤리프-에마미
직책2내무부 장관
총리2아미르-아바스 호베이다
임기 시작21974년 3월 1일
임기 종료21977년 8월 7일
이전2카말 하사니
다음2골람 레자 아자리
직책3재무 장관
총리3아미르-아바스 호베이다
임기 시작31965년 2월 1일
임기 종료31974년 3월 1일
이전3아미르-아바스 호베이다
다음3후샹 안사리

2. 어린 시절

1923년 6월 25일 이란 테헤란에서 태어났다.[9][2] 아버지는 저명한 변호사이자 정치가였던 하비볼라 아무제가르였으며, 형으로 자항기르 아무제가르가 있었다.[2] 테헤란 대학교에서 법학과 공학 학위를 받았고,[9][3] 이후 미국 코넬 대학교로 유학하여 1950년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9][3]

3. 정치 경력

잠시드 아무제가르는 1955년 자한샤 살레 내각에서 보건부 차관으로 임명되며 정치 경력을 시작했다.[4] 이후 여러 내각에서 농업부, 노동부, 보건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아미르아바스 호베이다 내각에서는 9년간 재무부 장관을 지낸 뒤 내무부 장관을 맡았다.

재무부 장관 시절인 1965년부터 1974년까지 OPEC(석유 수출국 기구)의 여러 회의를 주재했고,[10][5] 1971년 유가 인상을 성공시켜 이란의 국가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타지-에 이란' 훈장을 받았다.[10] 1975년에는 OPEC 회의 중 테러리스트 카를로스 자칼에게 인질로 잡혔다가 풀려나기도 했다.

1977년에는 당시 유일 합법 정당이었던 라스타키즈당의 의장으로 선출되었고, 같은 해 8월 7일 지미 카터 미국 대통령 취임 직후 아미르아바스 호베이다의 뒤를 이어 이란의 총리로 임명되었다.[11][6] 그러나 경제 안정을 위해 추진했던 정책들이 어려움을 겪으면서 약 1년 만인 1978년 8월 27일에 총리직에서 사임했다. 후임 총리로는 자파르 샤리프에마미가 임명되었다.[11][12][6][7]

1979년 이란 혁명 이후 미국으로 망명하여 메릴랜드주 등지에 거주하며 사우디아라비아 정부와 쿠웨이트 정부의 컨설턴트로 활동했다.[8] 그는 2016년 9월 27일 미국에서 사망했으며, 이란 제국의 마지막 생존 총리였다.

3. 1. 장관 시절

아무제가르는 1955년 자한샤 살레 내각에서 보건부 차관으로 임명되며 정치 경력을 시작했다.[4] 1959년에는 마누체흐르 에그발 총리 내각에서 하산 아카비의 후임으로 농업부 장관을 맡았다.[4] 이후 하산 알리 만수르 총리 내각에서 노동부 장관을 거쳐 보건부 장관을 역임했다. 1964년 만수르 총리가 암살된 후 출범한 아미르 아바스 호베이다 내각에서는 재무부 장관으로 임명되어 9년 동안 자리를 지켰다.

연도직책내각
1955년보건부 차관자한샤 살레 내각
1959년농업부 장관마누체흐르 에그발 내각
?노동부 장관하산 알리 만수르 내각
?보건부 장관하산 알리 만수르 내각
1964년 ~ 1973년경재무부 장관아미르 아바스 호베이다 내각
1974년내무부 장관아미르 아바스 호베이다 내각



1965년부터 1974년까지는 OPEC(석유 수출국 기구)의 여러 정기 회의를 주재했다.[10][5] 특히 1971년에는 사우디아라비아의 아흐마드 자키 야마니 석유장관과 협력하여 여러 차례의 유가 인상 합의를 이끌어냈다. 이 합의로 유가는 4배 이상 상승했으며, 이를 통해 확보한 자원으로 이란은 국가 기반시설, 농업, 국방 분야의 현대화를 추진할 수 있었다.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아무제가르는 당시 총리 및 전직 총리에게만 수여되던 '타지-에 이란'(تاج ایران|타제 이란fa) 1등 훈장을 받았다. 1974년에는 내무부 장관으로 임명되었다.

1978년 레자 샤 팔라비 탄신 1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모인 아무제가르(당시 총리), 자파르 샤리프에마미 상원의장, 압돌라 리아지 의회의장, 이맘 하산 에마미


1975년 12월 21일,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린 OPEC 회의 도중 베네수엘라 출신 테러리스트 카를로스 자칼에게 다른 각료들과 함께 인질로 붙잡히는 사건을 겪었다. 카를로스는 처음에는 아무제가르를 살해하라는 지시를 받았으나 이를 실행하지 않았고, 아무제가르는 사우디아라비아의 야마니 장관과 함께 알제리로 이송된 후 며칠 뒤 다른 인질들과 함께 풀려났다.

1977년, 아무제가르는 당시 이란의 유일 합법 정당이었던 라스타키즈당(부활당)의 의장으로 선출되었다. 그는 당내에서 재무부 장관 후샹 안사리가 이끄는 자유주의적 건설파에 맞서 진보파를 이끌었다. 이러한 정치적 입지를 바탕으로 지미 카터미국 대통령으로 취임한 직후인 1977년 8월 7일, 아미르 아바스 호베이다의 뒤를 이어 이란의 총리로 지명되었다.[11][6]

3. 2. OPEC 활동과 석유 파동

1965년부터 1974년까지 OPEC의 여러 정기 회의들을 주재했다.[10][5] 1971년에는 사우디아라비아의 석유 장관 아흐메드 자키 야마니와 함께 유가 인상을 위한 합의를 이끌어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 합의를 통해 유가는 4배 이상 상승했으며, 이는 이란이 국가 기반 시설, 농업, 국방 분야의 현대화를 추진하는 데 필요한 재원을 확보하는 기반이 되었다.[10][5]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아무제가르는 당시 총리 및 전직 총리에게만 수여되던 '타지-에 이란(Taj-e Iran)' 1등 훈장을 받았다.[10]

1975년 12월 21일,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린 OPEC 회의 도중 베네수엘라 출신의 테러리스트 카를로스 자칼에게 다른 석유 장관들과 함께 인질로 붙잡히는 사건을 겪었다. 카를로스는 처음에는 아무제가르를 살해하라는 지시를 받았으나 이를 실행하지 않았고, 아무제가르는 며칠 뒤 다른 인질들과 함께 알제리에서 풀려났다.

3. 3. 총리 시절



1977년, 아무제가르는 라스타키즈당(부활)의 의장이 되어 재무부 장관 후샹 안사리의 자유주의적 건설파에 맞서 진보파를 이끌었다. 지미 카터 미국 대통령 취임 직후인 1977년 8월 7일, 아미르아바스 호베이다의 뒤를 이어 이란 총리로 임명되었다.[6]

그러나 그는 총리로서 추진한 경제 정책의 결과로 곧 인기를 잃었다. 당시 과열된 경기를 진정시키기 위해 그가 시행한 조치들은 필요한 것으로 여겨졌음에도 불구하고, 결과적으로 실업률을 높이고 민간 부문의 이익을 침체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이러한 문제들은 그의 정부 운영의 어려움을 가중시켰고, 결국 1978년 8월 27일 총리직에서 사임했다. 후임으로는 자파르 샤리프에마미가 임명되었다.[6][7]

4. 이란 혁명 이후

1979년 이란 혁명 이후 이란을 떠났다. 2016년 9월 27일 미국에서 별세했으며, 이란 제국의 총리를 지낸 인물 중 가장 마지막까지 생존했던 인물이다.

참조

[1] 서적 Profile of Jamshid Amouzegar https://books.google[...]
[2] 논문 "The Shah's House Became the People's House": Narrating Iran's Modern History at the Pahlavi Dynasty Museum 2023-05
[3] 뉴스 Jamshid Amouzegar, former Iranian prime minister, dies at 93 https://www.washingt[...] The Washington Post 2016-10-19
[4] 논문 The Tudeh Party of Iran and the peasant question, 1941–53 https://doi.org/10.1[...] 2020-07
[5] 웹사이트 162nd Ordinary Meeting http://www.opec.org/[...] OPEC 2013-02-17
[6] 논문 A Chronological Survey of the Iranian Revolution 1980
[7] 서적 Class, Politics, and Ideology in the Iranian Revolution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4
[8] 뉴스 Jamshid Amouzegar, former Iranian prime minister, dies at 93 https://www.washingt[...]
[9] 웹인용 Shah Names New Cabinet with Jamshid Amouzegar as PM (1977) http://iranian.com/m[...] 2012-05-20
[10] 웹인용 162th Ordinary Meeting http://www.opec.org/[...] OPEC 2013-02-17
[11] 저널 A Chronological Survey of the Iranian Revolution http://www.jstor.org[...] 1980
[12] 서적 Class, Politics, and Ideology in the Iranian Revolution http://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4-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